본문 바로가기
인터넷

직장인 월평균 소득 임금 통계 분석(2022년 한국 직장인)

by sinbee 2024. 8. 31.
반응형

2022년 한국 직장인들의 월평균 소득은 353만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6% 증가한 수치로, 평균 소득의 상승폭은 2016년 이후 가장 컸습니다. 통계청은 2022년의 경제 회복에 따라 인력 수요가 급증하고 외국인 근로자의 수가 줄어들면서 평균 소득이 상승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임금 상승률 및 중위소득

임금 상승률은 2016년 이후 가장 높은 6%를 기록했습니다. 평균임금 상승률은 2017년 3.5%, 2018년 3.4%, 2019년 4.1%, 2020년 3.6%, 2021년 4.1%로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중위소득’—임금근로자의 소득 순서를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값—은 267만원으로, 전년 대비 6.9% 상승했습니다.

기업 규모별 임금 차이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 격차는 뚜렷합니다. 대기업 근로자의 평균 소득은 591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비영리기업 근로자는 346만원, 중소기업 근로자는 286만원을 기록했습니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 소득은 전년 대비 7.2% 증가한 반면, 대기업의 평균 소득은 4.9%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두 그룹 간 임금 격차는 305만원으로, 전년의 297만원에서 확대되었습니다.

소득 구간 및 성별 소득 차이

소득 구간별로는 150~250만원 미만이 24.1%로 가장 많았으며, 250~350만원 미만이 18.8%, 85만원 미만이 12.9%로 나타났습니다. 성별로는 남성의 평균 소득이 414만원으로 여성의 271만원보다 1.5배 높았습니다. 성별 소득 격차는 143만원으로, 전년의 133만원에서 증가했습니다.

연령대별 소득 분석

연령대별로는 40대가 평균 438만원으로 가장 높은 소득을 기록했으며, 50대가 415만원, 30대가 379만원, 20대가 255만원, 60세 이상이 243만원을 기록했습니다. 60세 이상의 소득이 8.1%, 50대가 7.0%, 20대가 6.4%, 40대가 5.8% 증가했습니다.


산업별 임금 차이

산업별로는 금융·보험업이 757만원, 전기·가스공급업이 680만원으로 높은 소득을 기록했으며, 숙박·음식점업은 172만원, 협회·단체·기타 개인서비스는 223만원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통계는 한국 직장인의 임금 수준과 소득 격차의 현황을 잘 보여주며, 특히 기업 규모와 성별, 연령대, 산업별로 차별화된 임금 수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